EDUCATION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양화과 수료 2015-2017

성신여자대학교 동양화과 졸업 2002-2006


SOLO EXHIBITION

2018 ‘Redundancy and Repetition’ <중복과 반복> 김리아갤러리, 서울

2018 ‘A Repetitive Landscape’ <반복적 풍경> 갤러리 이즈, 서울

2018 ‘Variation of repetition’ <반복의 변주> 팔레드 서울, 서울


GROUP EXHIBITION

2018 ‘마주보기’전, 리디아 갤러리, 서울

2017 Change common, 아트스페이스 엣, 서울

2017 Change your mind, 분당 서울대 병원 스페이스 U , 경기

2017 마중물 전 , 김리아 갤러리, 서울

2017 한성백제 미술대상전, 예송미술관, 서울

2017 커뮤니케이션 인 하남, 하남문화 예술회관 , 경기

2017 ‘모락모락’전, 갤러리 일호, 서울

2017 www.전, 성신여자대학교 미술관 가온전시실, 서울

2016  교동아트미술관·교동아트 스튜디오, 전주

2016 The Salon, 샬롱드 셔리풀 서울

2016 아트 업 페스티벌, 동대문DDP디자인 플라자

2016 잇다, 성신여자대학교 가온갤러리

2016 다시, 그리고 쉼, 북 서울 미술관 커뮤니티 갤러리 서울

2016 LAB 708 , 아이갤러리 서울

2016 청계천 아트 업  페스티벌 , 서울

2015 동적전이, 가온갤러리 성신여자대학교 서울

2015 크리스마스 선물 전, 샘터 갤러리 서울

2015 성신여자대학교 개교 50주년 기념전, 아라 아트센터 서울


AWARDS

2018 제7회 갤러리 이즈 신진작가 창작지원 프로그램 최우수 선정 작가

2017 제16회 2017한성백제 미술대상전 특선

2016 아트 업 페스티벌 우수 팀 선정

2016 전국대학미술공모전 입상


ARTIST NOTE

본인의 유제품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된 젖소와 닭 작업이 이들이 키워지는 체제에 관심을 가지며 복제하여 그리게 되었고 이들의 특징을 강조하기 위해 부조와 입체 작업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현대 사회는 누구나 어느 정도 똑같은 정보와 소식을 어렵지 않게 공유하고 복제 한다.

본인은 이 부분이 무분별하게 키워지는 체제와 무분별한 복제의 유사성을 발견 하게 되었다.

그래서 본인은 이들을 몰 개성화 시키고 반복시켜 그렸다. 그러나 온전한 그리기를 통해 그들은 하나하나 다 다르고 그들이 합쳐져서 이루는 형태도 아름다움을 가진다.

최근에는 도형화 작업을 주로 하였는데 이는 개체의 개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원래 체제에 관심을 가져 무한 복제를 하였는데 점 점 닭과 젖소가 본인과 겹쳐지는 느낌을 받았다. 무리 속에 있으면 그 개체는 개개인보다 단체에 집중하지만 단체를 해체시키면 개체에 집중할 수 있다. 개체가 다름을 강조하기 위해서 해체적 작업으로 진행하였다.

젖소와 닭이 매일매일 비슷한 패턴을 가지고 살아가듯 이를 그리는 본인도 유사하다.  또한 우리의 모습도 그날 그날 비슷한 일상을 가지고 살고 있으며 쳇바퀴 도는 삶 같지만 그것이 모여 다를 수 있음을 강조한다.

어느 날은 복잡하고 어느 날은 최고의 날일 수 있다. 본인의 작업을 통해 현대 사회에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자각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이 속에서 내가 지켜야 하는 것과 달라져야 하는 것에 대해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